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WHATTIMEOFTHEDAY
- 영어시간읽기
- 미니마카
- 자켓실측
- 와끼
- 고급영어단어
- AATCC
- 봉제용어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웹API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Armhole Drop
- 비슬론지퍼
- 엑셀드래그단축키
- 헤이큐
- 클린코드
- 40HQ컨테이너
- 우레탄지퍼
- 나일론지퍼
- 엑셀자동서식
- 미국영어연음
- 비리짐
- 요척합의
- 지연환가료
- 슈퍼코딩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TACKING
- 암홀트롭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MERN스택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20)
CASSIE'S BLOG
ETD / ESTIMATED TIME OF DEPARTURE ETD는 터미널 상황 및 출발항에 상황에 따라 하루이틀 변경되기 떄문에 ETD 당일에 꼭 배가 출발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선박이 출발항을 출발하기로 한 예정시간(일) ON BOARD DATE : B/L상 찍히는 날짜. 수출입 담당은 배가 출발하고나서는 ETD라고 쓰는게 아니라 ON BOARD DATE라고 표현해야한다.

수출회사는 포워더한테 SHIPMENT BOOKING을 함 그 이후에 화물 선적 되면 운송서류라는 것을 포워더가 발행 (HOUSE) 운송서류는 2가지로 분류된다. 1) B/L (유가증권: 소지자가 권리행세 가능) B/L를 포워더로부터 받으면 이미 그 물건은 선박이 선적되서 우리나라 땅을 떠났다 생각하면 됨 실무에서는 OBL이라고 부른다. OBL소지자가 허락안해주면 물건을 아예 찾을 수 없음 OBL발행되면 SHIPPER가 가지고 있는 화물의 소유권을 목적항에 도착한 화물을 찾는 CONSIGNEE한테 이전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OBL를 SHIPPER가 CONSINGEE 한테 그대로 전달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함. (소유권 이전 의무 있음) 2)화물운송장(Waybill) - Sea Waybill - Air..

url 명령규칙 언더바는 안 쓰고 하이픈을 쓴다.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variable1/{String 값} @GetMapping(value = "/variable1/{variable}") public String getVariable1(@PathVariable String variable) { return variable; }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request2?key1=value1&key2=value2 @GetMapping(value = "/request2")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2(@RequestParam Map param) { StringBuilder sb = ne..
getter/setter 메소드 단축키 ALT + INSERT
EntrySet()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request2?key1=value1&key2=value2 @GetMapping(value = "/request2")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2(@RequestParam Map param)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aram.entrySet().forEach(map -> { sb.append(map.getKey() + " : " + map.getValue() + "\n"); }); param.entrySet().forEach(map -> { sb.append(map.getKey() + " : " + map.getValue() + "\n"..
() => { } 괄호 ()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매개변수가 없으므로 비어있는 괄호입니다. 화살표 (=>)는 함수의 정의를 나타냅니다. 중괄호 {}는 함수의 본문을 감싸는 블록을 나타냅니다. 이 안에 함수의 동작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const About = () => { const { name, role, description, resume, social } = about return ( {name && ( Hi, I am {name}. )} {role && A {role}.} {description && description} {resume && ( Resume )} {social && ( {social.github && ( )} {social.linkedin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