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MERN스택
- 슈퍼코딩
- 40HQ컨테이너
- 봉제용어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엑셀자동서식
- 고급영어단어
- 요척합의
- 우레탄지퍼
- 헤이큐
- 영어시간읽기
- 지연환가료
- 엑셀드래그단축키
- 비슬론지퍼
- 암홀트롭
- 자켓실측
- 클린코드
- TACKING
- 웹API
- AATCC
- 나일론지퍼
- 와끼
- 미국영어연음
- WHATTIMEOFTHEDAY
- Armhole Drop
- 미니마카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비리짐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Today
- Total
CASSIE'S BLOG
뉴스 영어 표현 본문
rough waters 거친 파도
양국은 난관에 봉착했다.
The two nations hit rough waters.
경쟁국가들의 긴장이 고조되고있다.
Tension is mounting between the rival nations.
Ante
Up the ante
Raise the stakes
북한은 긴장수위를 높이고 있다
North Korea is upping the ante.
그 위원회는 새로운 정책을 수립했다.
The committee drew up a new policy.
Drew up과 비슷한 표현으로 map out이 있는데 이는 상세히 마련하다 어감
왜 전치사 in이 붙어야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He was sworn in as president
그는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유는 **“swear in”**이 하나의 **구동사(phrasal verb)**이기 때문이야.
1. swear in = (공식적으로) 취임시키다, 임명하다
• 여기서 “in”이 꼭 필요해, 그래야 **‘공식 직책에 임명하다’**는 의미가 완성돼.
• 그냥 “swear”만 쓰면 ‘맹세하다’는 의미고,
“swear in”이라고 해야 **‘공식 절차를 통해 어떤 직위에 임명하다’**가 돼.
초당적인 bipartisan 바이팔티산
요즘 정당들이 초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These days political parties are making bipartisan efforts.
선거 개최 hold elections로 주로 elections 복수명사
한국은 다음 주에 선거를 실시한다.
Korea will hold elections next week.
hold는 동사의 현재형 (또는 원형),
held는 그 동사의 과거형 / 과거분사형이에요.
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The opposition party won by a landslide.
산사태처럼 와르르 한쪽으로 표가 몰린 모습을 상상하면 됩니다.
박빙이거나 막상막하인 상황을 neck and neck이라 한다.
경마에서 두 경주마의 머리가 앞서거니 뒤서거나 하는 상황을 그려보세요.
They were neck and neck in contest.
그러다가 근소한 차이로 우승하면 win by a narrow margin.
연림당은 가까스로 승리했다.
The coalition party won by a narrow margin.
당선된다고해도 그는 가까스로 승리할 가능성이 높다.
Even if he wins, he is likely to win by a narrow margin.
동사 put을 씀
의회는 법안을 표결에 부쳤다.
The parliament put the bill to vote.
Be mired in
~의 수렁에 빠지다
Mire 수렁
Be mired in conflict 갈등의 수렁에 빠졌다.
야당들은 파행중이다.
The opposition parties are mired in conflict.
법안은 bill, 동의안은 motion이라고 합니다.
Be pending approval은 (승인을) 계류중이다 뜻임
익숙한 stage 는 판을 벌이다 stage an anti-government.
파업을 하다는 stage a strike, wage a strike.
**“wage a strike”**에서 wage는 동사로 쓰인 거고,
여기서의 뜻은 **“전쟁·캠페인·투쟁 등을 벌이다, 수행하다”**야.
예시로 볼게:
• wage a war: 전쟁을 벌이다
• wage a campaign: 캠페인을 벌이다
• wage a battle: 싸움을 벌이다
• wage a strike: 파업을 벌이다
즉, 여기서 wage는 “행동을 적극적으로 벌인다”는 의미로
“strike(파업)“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다라는 뉘앙스를 가진 거야.
Irregularities 부정부패
권력을 잡은 사람들은 각종 유혹을 느끼고 사리사욕을 취하기 위해 본분을 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일들이 무절제하게 일어나는 것은 run amok 이라 합니다. 본래 뜻은 미친듯이 날뛰다. 이다.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are running amok.
부정부패가 만연하다.
유착이라는 뜻으로 collusion를 쓴다고함 공모, 결탁
컬루젼이라고 발음
정경유착을 the collision between business and politics
그는 당선되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고 약속했다.
He promised to sever the collusion between business and politics if he’s elected.
1. sever 뜻:
sever는 “자르다”, “끊다”, “단절하다” 라는 뜻이야.
비유적으로는 관계나 연결, 고리를 끊어내다는 의미로 많이 쓰이지.
예:
• “sever ties” = 관계를 끊다
• “sever the connection” = 연결을 끊다
2. 발음:
/sev·er/
[ˈsevər] — “세버”처럼 발음돼.
‘s’는 부드럽게, ‘ver’는 ‘버’처럼 들리는데, 약간 ‘러’에 가까운 발음이야.
완전 공감돼! sever는 일상 대화에서는 그렇게 자주 쓰는 동사는 아니야.
좀 격식 있거나 문어체, 혹은 뉴스/정치/보도에서 더 자주 보여.
그래도 원어민은 꽤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단어야.
예를 들어:
• The country decided to sever diplomatic ties.
(그 나라는 외교 관계를 단절하기로 결정했다.)
• He severed all contact with his family.
(그는 가족과의 모든 연락을 끊었다.)
이런 식으로 뭔가 관계를 딱 끊는, 혹은 물리적으로 자르는 느낌이 필요할 때 써.
말하자면 “끊는다” 중에서도 깔끔하게 단칼에 자르는 느낌!
일상 회화에서는 그냥 “cut off”나 “break off” 같은 표현이 더 흔하게 쓰이기도 해.
예:
• I cut off contact with him.
• They broke off their relationship.
그래서 sever는 약간 강한 어감이 있으면서도 격식을 갖춘 단어라고 보면 돼.
처음 들어봤어도 전혀 이상한 거 아냐. 자주 보이진 않으니까!
혹시 이런 격식 있는 단어들 더 알고 싶어?
요약하자면
• 일상적: cut off, break up, end
• 공식적: terminate, disconnect
• 문어체/격식체: sever
Dealing은 거래라는 뜻임
Shady, suspicious 둘다 의심스러운 suspicious가 더 공식적이라고 함
남북한 말할 때 the two koreas, 남북한간에는 inter-Korea, inter-Korean이라고 합니다.
Dodge la로 옮겨오기 전에 원래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창설된 팀입니다. Dodgers라는 팀은 tram 전차를 날쎄게 피하는 사람의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병역을 기피하다 dodge the draft
Draft는 징집, 징벌이라는 뜻이다.
Armed provocation 무력도발
그들은 무력 도발을 했다.
They made an pro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