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CASSIE'S BLOG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본문

카테고리 없음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ITSCASSIE1107 2025. 3. 22. 14:37
반응형

요즘 세대를 ‘도파민 인류’라고도 해요. 도파민은 새로운 자극을 받는 과정에서 ‘쾌락과 보상’의 감각과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이에요. 삶의 활력소를 주는 이 도파민이 스마트폰과 만나 ‘도파민 중독’이란 키워드를 만들어냈습니다.  


가족들과 대화할 때, 친구와 대화할 때, 직장 상사와 대화할 때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지해야 합니다. 그 관계가 주는 공통된 맥락, 온도 차이, 계급의 차이가 주는 분위기 등을 고려해야 대화가 원활해지죠.  -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이승화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b9f4726d8f14c4c


듣는 이 파악하기 |  충분한 배경지식을 갖췄나요?

  이번 사례의 포인트! 남동생은 나이가 어리고 경험과 지식도 부족합니다. 남동생은 미에로화이바는 먹어보지 못했지만 사이다는 먹어봤습니다. 그러니 계속 ‘사이다’로 들리는 거예요. 미에로사이다, 이에로사이다, 기승전 ‘사이다’에만 꽂힙니다.

  우리는 기존에 알고 있는 배경지식을 기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직·간접 경험이 중요합니다. 남동생은 배경지식을 확장할 필요가 있어요. 어휘력과 배경지식을 쌓아 지식 수준을 높이면 이해도가 훨씬 좋아집니다! 혹시나 평소에 고집이 좀 있다면 유연한 심리 태도도 필요해요. 나중에는 누나가 성질을 내니까 긴장해서 잘 들리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평소에 많이 혼났다면 더 그럴 수 있어요. 심리적인 태도가 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더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지해야 합니다. 회피할수록 더 긴장하고 움츠러들고 악순환만 반복됩니다. 최대한 빠르게 이 고리를 끊어야 해요. 배경지식이 부족하다면 명확히 도움을 요청하고,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배경지식을 쌓으면 되니까요. 스스로 공부하고 이해한 만큼, 전문성이 쌓인 만큼 잘 들린다는 사실을 명심하세요. 이런 능력이 자신감 있는 태도와 좋은 성과로 이어집니다. -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이승화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b9f4726d8f14c4c


레슨런lesson learn | 일하면서 배운 점

  (예) 레슨런 정리 -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이승화 - 밀리의 서재



일상에서도 긴장되는 상황은 자주 찾아옵니다. 시험이나 면접을 보거나, 많은 사람 앞에서 중요한 발표를 하거나, 상사에게 혼이 나는 등 여러 가지 경우가 금방 떠오르죠. 평소에 사람들과 무리 없이 대화를 주고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상황의 기세에 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이승화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b9f4726d8f14c4c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월간 밀리로드 최우수상 수상 밀리의 서재 밀리 랭킹 종합 1위숏폼 아니면 못 보겠어요 말을 잘 못 알아듣겠어요쉽고 재미있게 도파민 인류 맞춤형 대화 감각 향상 비법을 한 권에 모두 담았다

www.millie.co.kr


상태라 상대방의 메시지가 귀에 들어오지 않았고, 머릿속에 새겨진 ‘탑층의 복합 구조’만 반복했어요. 이 로봇 같은 모습에 많은 분들이 즐거워했습니다. 하지만 공인중개사 본인은 식은땀이 뻘뻘 났을 거예요. 이처럼 심리적 요인 때문에 외부의 언어 자극이 차단되기도 합니다. 고객 상담도 많이 하고, 집에 대한 지식도 빠삭한 전문가도 긴장하면 머리가 하얘지고 행동이 어리숙해집니다. 무엇보다 마음의 여유가 중요해요.

유튜브에도 다양한 백색소음을 통해 ‘바닷가에서 공부하기’, ‘캠핑장에서 공부하기’와 같은 효과를 주는 콘텐츠들이 있어요. 파도 소리나 장작 타는 소리를 들으며 공부하면 상상 속에서 나는 이미 그곳에 가 있는 겁니다. 다 공간이 주는 압박을 벗어나 나의 심리적 환경을 재구성하기 위함이에요.

유연하지 않은 상대방과 대화하는 법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하면 돼’ 식의 대화를 구사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을 만나면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몰라 답답할 때도 있어요. 어떻게 현명한 대응을 할 수 있을까요?

누구나 편향된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우리의 마음속에는 신념도, 고집도 있으니까요. 그런 부분에 관해 공감대가 있는 사람과 대화하거나, 그런 메시지의 글을 읽을 때 더 달콤하게 느껴지죠. 그렇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마음을 비우고 다양한 생각을 유연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인지 부조화의 순간에 우리는 선택할 수 있습니다. 쉽고 익숙한 길이 더 끌리겠지만, 한번 더 고민해 보자는 것입니다. 고집스러운 태도를 버리고 유연한 태도를 가져야 대화가 풍요로워집니다. 신념이 강한 상대방과 대화할 때도 이 주제가 정말 중요한 부분인지 생각하고 이해하려고 애쓰며 감정싸움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해요. 설득이 필요하다면 신뢰(에토스) – 정서적 공감(파토스) – 논리적 증거(로고스)의 단계를 떠올려주세요. -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이승화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eb9f4726d8f14c4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