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요척합의
- 웹API
- Armhole Drop
- 자켓실측
- 헤이큐
- 나일론지퍼
- 비리짐
- 와끼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지연환가료
- 영어시간읽기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TACKING
- 고급영어단어
- 엑셀자동서식
- 슈퍼코딩
- MERN스택
- 우레탄지퍼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비슬론지퍼
- 클린코드
- AATCC
- 미국영어연음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암홀트롭
- 엑셀드래그단축키
- 40HQ컨테이너
- 봉제용어
- WHATTIMEOFTHEDAY
- 미니마카
- Today
- Total
목록2024/01/02 (3)
CASSIE'S BLOG

3 layered 매우중요한 개념임 제일 윗 계층인 Presentation Layer Spring Boot에서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은 특정 메서드나 컨트롤러 클래스에 HTTP 요청을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RESTful API 엔드포인트를 정의할 때 활용되며, 요청의 경로, 메서드, 헤더 등을 기반으로 어떤 메서드가 실행될지를 결정합니다. @RestController 컨트롤러 클래스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적절한 응답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에요.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은 Spring에서 RESTful 웹 서비스의 컨트롤러 클래스를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해당 클래스의 모든 메서드의 반환 값이 HTTP 응답으로 처리..

스프링컨테이너에 등록하는게 빈등록이고 등록이 일어나는 순간 서블릿컨테이너가 소유하고 있고 제어자체가 넘어갔으니까 제어의 역전이다. Ioc다. 면접 단골 문제래 스프링 코드 아키텍처 3-layered 스프링 생성 시 기본 파일 Spring Main 클래스 Spring 설정파일 & Custom 설정 파일 Test Code Gradle 설정파일 스프링 실행 클래스 X, 톰캣 실행 클래스 O 메인 그 클래스 실행하면 스프링 실행 클래스가 실행되는게 아니라 톰캣 실행 클래스가 실행되는 거임 스프링에서는 톰캣 실행 클래스와 스프링 실행 클래스가 따로 있었는데 두번 실행버튼을 눌렀어야했는데 스프링 부트는 내장톰캣이라고 해서 실행할 때 톰캣이 실행되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같이 실행되는 구조다. application.p..
Spring Boot에서의 Bean과 어노테이션은 코드의 구조를 좀 더 편하게 만들어주고, 개발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돼요. Bean이란 무엇인가? Bean은 Spring이라는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객체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만든 클래스가 Bean으로 등록되면 Spring이 그 객체를 알아서 생성하고,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줍니다. @Component,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어노테이션은 뭐죠? 이 어노테이션들은 특정 역할을 하는 클래스를 Spring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Component는 일반적인 컴포넌트로 등록하고, @Service는 서비스 관련 컴포넌트, @Repository는 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