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헤이큐
- 40HQ컨테이너
- 봉제용어
- 비슬론지퍼
- 나일론지퍼
- 미니마카
- 영어시간읽기
- 우레탄지퍼
- WHATTIMEOFTHEDAY
- 클린코드
- AATCC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엑셀자동서식
- TACKING
- 웹API
- 자켓실측
- MERN스택
- 와끼
- 미국영어연음
- 슈퍼코딩
- 암홀트롭
- 고급영어단어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지연환가료
- 요척합의
- 엑셀드래그단축키
- 비리짐
- Armhole Drop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62)
CASSIE'S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LkFM/btsKbKsAXGS/KqHVOefc75QQpMXRYS7bf0/img.jpg)
Xlookup 같은 식박한 게 있었음COUNTBLANK 통해서 빈셀의 갯수도 셀 수 있음 COUNTIF 여러 셀에 거쳐 사선 긋기 중복값만 색깔 표시했는데 평균이상도 컬러 표시 가능 오류 서식으로 골라내기 표 아무데나 누르고 ctrl + a -> alt + h + a + l 이건 왼쪽 정렬 글꼴 바꾸기 Alt + H + F + F 글자부분은 왼쪽 숫자부분은 오른쪽이 맞는 듯 차트 합계 표시하는게 좀 까탈스럽긴함
실습 건너뜀 강의 시작하자마자
바로 실습 자바 코드에서 서비스단에서 Primary 어노테이션이 어떤 기능을 가져? @Primary 어노테이션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의존성 주입 시 어떤 빈(Bean)을 기본적으로 사용할지를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프링은 한 타입에 대해 여러 개의 빈이 정의된 경우, 어느 빈을 사용할지 모호할 수 있는데, 이때 @Primary를 사용하면 해당 빈이 기본으로 선택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즉, 같은 타입의 여러 빈이 존재할 때 @Primary가 붙은 빈이 우선적으로 주입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서비스 빈이 있다고 가정할 때: @Service public class ServiceA implements MyService { // ... } @Service @Primary public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yWyE/btsJ45aNIIE/7ZckM0MfRSTmj22xi9Nj21/img.png)
각 유저마다 요구기능이 다를 수 있어서 복잡할 수 있다. 시나리오를 짜봐야지 어떤 db가 필요하고 어떻게 관리할지 그림이 그려짐 항공권과 항공편은 다른거다. 항공권 왕복이면 두개의 항공편이 있잖아예약과 결제같은 경우에는 이거를 엔티티로 보냐 안보냐도 충분히 논의주제가 될 수도 있다썜의 경우에는 예약과 결제같은 경우는 엔티티로 빼야 관리하기가 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에 한명이라 함.다섯 개의 후보를 봅아봤다고 함.그래야 모델링을 시작할 수 있다함. 엔티티후보와 엔티티 무조건 똑같지않아도 된다함. erdcloud.comdraw.io 두개 중에 하나로 그리면 되는데 draw.io를 선호한다고함 -user이 너무 general한 것 같아서 승객으로 따로 뺐다고함 1:1 발견2번째 문장에 여러 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3eLo/btsJ3bjSNr7/CduzvUIXPM2jGjg28G7070/img.png)
HAVING으로 그룹화된 것들 조건으로 또 거는 것 관계형 db인 rdb의 관계에서 제일 중요한 것 2가지 rdb에서는 어떤 목적, 상하관계 이런 게 없다. 관계의 선택성 (관계의 중요성), 다중성 이거 밖에 없다. 페어링은 이 관계가 무조건 페어 즉 싱크를 맞추고 있어야하나 이 뜻 임. 동그라미랑 수직에 대해서 여태껏 몰랏네 자식에서 부모 방향으로 읽으면 수직바라서 "자식은 부모를 가져아한다" 가 되는 거임 동그라미같은 경우에는 가질 수 있다니까 0또는 1 이렇게 해석하면 되고수직바 2개면은 오른쪽 수직바는 그냥1이라는 뜻이고 왼쪽의 수직바는 mandatory 필수적인 1이다. one => 에 설명되어있는 뜻 까치발이 many뜻인데 동그라미가 있으면은 동그라미는 가질 수 있고 안 가질 수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