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MERN스택
- 미니마카
- 요척합의
- 봉제용어
- 자켓실측
- 40HQ컨테이너
- AATCC
- Armhole Drop
- 클린코드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우레탄지퍼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암홀트롭
- 헤이큐
- 영어시간읽기
- 지연환가료
- 고급영어단어
- 웹API
- 비리짐
- 슈퍼코딩
- 미국영어연음
- WHATTIMEOFTHEDAY
- 비슬론지퍼
- 와끼
- 나일론지퍼
- 엑셀자동서식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TACKING
- 엑셀드래그단축키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React (70)
CASSIE'S BLOG
1. 원격 브랜치 업데이트 먼저,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들을 로컬 저장소에 업데이트 해야한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가져오고 싶은 브랜치를 확인하고, 로컬 저장소 목록을 업데이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git remote update git branch -r # 원격 브랜치 확인 git branch -a # 모든 브랜치 확인
로컬 목록 보기 git branch 리모트 목록 보기 git branch -r 전체 목록 보기 git branch -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GKls/btssfve2GIm/RQOwqdaBIPH9P37VT70s3k/img.png)
$ git remote update git remote remove 옵션을 사용해 주시면 연결되어 있는 저장소를 간단하게 끊을 수 있습니다. $ git remote remove origin 이후 다시 -v 옵션을 통해 확인해 보면 연결된 원격 저장소가 없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와 연결 끊기 1. git remote -v 명령어를 입력하면 원격저장소와 연결이 끊어진다. 원격 저장소 삭제 명령은 간단하다. git remote remove 을 입력하면 된다.
https://kyounghwan01.github.io/blog/React/react-query/basic/#%E1%84%89%E1%85%A1%E1%84%8B%E1%85%AD%E1%86%BC%E1%84%92%E1%85%A1%E1%84%82%E1%85%B3%E1%86%AB-%E1%84%8B%E1%85%B5%E1%84%8B%E1%85%B2 react-query 개념 및 정리 react-query 개념 및 정리, react, react16, hook, useState, useRef, useMemo, useEffect, useReducer, useCallback, useQuery 동기적으로 실행 kyounghwan01.github.i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MHhZ/btssf3bvloh/XJZZGxHZ0Y2r1kcoExHoO0/img.png)
https://velog.io/@raverana96/react-%EB%A6%AC%EC%95%A1%ED%8A%B8-%ED%94%84%EB%A1%9C%EC%A0%9D%ED%8A%B8%EC%9D%98-%ED%8F%B4%EB%8D%94%EA%B5%AC%EC%A1%B0 [react] 리액트 프로젝트의 폴더구조 javascript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히고 '아 이제는 리액트를 찍먹해볼까?' 하고서 도전한 리액트. 다른 무엇보다 리액트라는 라이브러리(혹은 프레임워크)가 어떤, 뭐하는 것인지 정확히 이 velog.io assets 나머지 폴더들도 간략하게 확인해보겠다. assets 안에는 우리가 프로젝트에 쓸 font, image 등이 담겨 있다. 처음에는 assets와 public 폴더를 많이 헷갈렸었는데, ..
styled-components와 더 친해지기 위해 ThemeProvider를 이용해서 다크모드 예제를 만들어봤다. 🔻 theme.js export const dark = { colors: { titleColor: "#fff", bgColor: "#232332", } } export const light = { colors: { titleColor: "#232332", bgColor: "#fff", } } 다크모드일 때, 라이트모드일 때 텍스트 컬러와 배경 컬러를 지정해준다. import styled, { ThemeProvider } from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에서 ThemeProvider를 import 해준다. 🔻 App.js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