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비리짐
- TACKING
- 봉제용어
- 지연환가료
- AATCC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웹API
- 고급영어단어
- 40HQ컨테이너
- 암홀트롭
- 요척합의
- 자켓실측
- 우레탄지퍼
- 비슬론지퍼
- 헤이큐
- 미국영어연음
- 영어시간읽기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엑셀드래그단축키
- 엑셀자동서식
- 나일론지퍼
- 와끼
- 클린코드
- 슈퍼코딩
- MERN스택
- 미니마카
- WHATTIMEOFTHEDAY
- Armhole Drop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62)
CASSIE'S BLOG
function App (){ const [counter, setCounter] = useState(0); } 이거 counter 초기값이 0이라는데 이게 useState(0); 이거를 0으로 해줘서 그런거야? 맞아요! useState(0)에서 0은 counter의 초기값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React의 useState 훅을 사용하여 상태를 초기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counter는 초기에 0으로 설정되고, 이 값은 나중에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5a6j/btsAuLOI1kd/A0nW7Mq8HGUQX9DimqlAG1/img.png)
React-redux Store, Reducer 만들기 Provider로 감싸기 useSelector 컴포넌트에서 Action을 Dispatch하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store store에 변화를 주는 Reducer 이제는 React-redux라는 상태관리라이브러리를 같이 사용한데 다른 개념이 아니라 그냥 리액트에서 리덕스 쓸 수 있게 만든 개념 ✅practice/5-5 checkout Summary ✅npm install redux react-redux 설치 ✅ npm start ✅ App.js 먼저 들어가면 Counter 컴포넌트 하나만 있어서 Counter 컴포넌트 들어가기 (껍데기만 있는 UI) import classes from './Counter.module.css'; const Counter..
추후 정리하기 자바스프링 이야기 할 때 나오는 거 https://blog.naver.com/wjavmtngkr1/223092708088
window 단축키 alt +누르고 이러면 폴더 왔다갔다 할 수 있다. 이걸 왜 몰랐지?
1.1 REST api의 구성 1.1.1 자원 (Resource) - URL 우리가 만들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을 자원으로 표현할 수 있다. 1.1.2 행위 - HTTP method (CRUD) GET / POST / PUT / DELETE 로 해당 자원에 대한 행위를 표현할 수 있다. GET 메소드는 해당 자원의 조회, POST 메소드는 해당 자원의 생성 Create: 생성 (POST) Read: 조회 (GET) Update: 수정 (PUT) Delete: 삭제 (DELETE)
MongoDB의 포함관계는 database > collections > documents 이다. 1. database 1-1. 생성 use 데이터베이스명 으로 생성한다. 이미 있는 경우엔 현존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1개 이상의 Collection이 있어야 데이터베이스 리스트에서 보인다. 1-2. 조회 db :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베이스 확인 show dbs : 데이터베이스 리스트 확인 db.stats() : 데이터베이스 상태확인 1-3. 제거 db.dropDatabase() 로 데이터베이스를 제거한다. use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스위치하고선 실행해야한다. 메소드 정리 건 조회 메소드 db.collection명.find() - document 전체 조회. .pretty()붙이면 결과가 깔끔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