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ATCC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WHATTIMEOFTHEDAY
- 미국영어연음
- 헤이큐
- 암홀트롭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비리짐
- 웹API
- 와끼
- 요척합의
- 클린코드
- 40HQ컨테이너
- MERN스택
- 엑셀드래그단축키
- Armhole Drop
- TACKING
- 나일론지퍼
- 자켓실측
- 슈퍼코딩
- 고급영어단어
- 우레탄지퍼
- 봉제용어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지연환가료
- 비슬론지퍼
- 엑셀자동서식
- 영어시간읽기
- 미니마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62)
CASSIE'S BLOG
npm install 하면 의존성 다 설치해주는거야? 네, 정확히 맞습니다. npm install 명령어는 프로젝트의 package.json 파일에 명시된 의존성(dependencies)들을 모두 설치합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받았거나 새로운 의존성을 추가했을 때,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npm install 명령어를 실행하여 필요한 패키지들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node_modules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이 안에 의존성 패키지들이 저장됩니다. 만약 package.json 파일에 명시된 의존성들을 변경했다면, npm install을 실행하여 해당 변경사항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를 다른 환경에서 실행할 때 node_modules 디렉토리를 함께 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DuSn/btsB6O3eAPR/UNq5RGm94IkMDlZIZ2wlAk/img.png)
꼭 내가 구현해도 되지않아도 되지만 어려운 것들 또는 반복되는 것들 외부클래스와 인터페이스 등 외부에 자바코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를 여러개 가져오면 꼬이는 경우가 많다고함. 자바에서 싱크 맞추고 테스트하고 난 다음에는 jar라는 압축파일로 제공을 해야한다. jar 패키징이라고 한다. 자바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 후에 실행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 할 수 있다. 자바 build는 java compile보다 더 큰 개념임. 기타작업도 하니까 자바 빌드 툴: 정형화된 빌드 작업 자동화 시스템 Java 컴파일 과정 Java 코드 의존성 관리 Java 코드 테스트 및 리포트 Java 문서화 과정 Java 압축화 파일 생성 (jar) Java 배포 과정 실행 배포하고 나서 버그 발견해서 코드 한 줄 고쳤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oLNI/btsB7SYjX7J/apFLYzJs6ruU644a2090R1/img.png)
인텔리제이에서 스트라이크 표시되거나 경고표시 되게끔 하는게 @Depreca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mZPvf/btsB6wOVXl1/ftVuPf09Y6iKq8w2eNAtQk/img.png)
userBuilder의 constructor 만들고, 근데 빈 constructor를 만들면 된다고함. 스스로 UserBuilder를 반환하는 메소드를 정의한다. 이런 식으로 메소드 계속 만들면 된다. 여기서 this는 뭐야? public userBuilder firstName (String firstName) { this.firstName = firstName; return this; } 위 코드는 빌더 패턴(Builder Pattern)을 사용하여 사용자(User) 객체를 생성하는 빌더 메서드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this는 현재 객체(메서드가 속한 객체)를 나타냅니다. public userBuilder firstName(String firstName) { this.firstName = firs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