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웹API
- 슈퍼코딩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비리짐
- 봉제용어
- TACKING
- AATCC
- 자켓실측
- WHATTIMEOFTHEDAY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영어시간읽기
- 미국영어연음
- 지연환가료
- 요척합의
- 나일론지퍼
- 엑셀자동서식
- 와끼
- 비슬론지퍼
- 우레탄지퍼
- Armhole Drop
- 헤이큐
- 클린코드
- MERN스택
- 엑셀드래그단축키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40HQ컨테이너
- 암홀트롭
- 고급영어단어
- 미니마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62)
CASSIE'S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wHU0/btsFuOZEBhv/ngeimWgomvmUBIQXP96VJK/img.png)
잘 정리해주신 자료: https://zzang9ha.tistory.com/441 Spring DispatcherServlet(디스패처서블릿) 개념부터 동작 과정까지 🔗 DispatcherServlet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에서 HTTP 요청 및 응답과 관련하여 가장 핵심 기술인 DispatcherServlet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평소에 개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 zzang9ha.tistory.com 🔗 DispatcherServlet 내부 코드 DispatcherServlet의 내부 코드를 살펴보면 Spring 팀에서 개발한 여러 디자인 패턴이 존재합니다. 아래 패턴들은 전부 코드에서 나오는 개념들이니 간략히 살펴보시고 해당 포스팅을 보시면 이해하시기에 보다 수월할 듯..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3MF7/btsFuMGZXAz/VuBeIARKZsJY49TE1ItUNk/img.png)
예약하는 api 내용이 복잡하고 join문 쓸 예정 요청 자체 RequestBody로 오니까 Controller 매개변수 @PostMapping("/reservations") public ReservationResult makeReservation(@RequestBody){ } A랑 F명명 하는 부분 " FROM airline_ticket A " + " INNER JOIN flight F " + @Override public List findAllAirlineTicketAndFlightInfo(Integer airlineTicketId) { return jdbcTemplate.query("SELECT A.ticket_id, A.tax, A.total_price, F.flight_price, F.char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DRhy/btsFoercExW/sE4H9ZeMPRj6f8Nr9UZQ41/img.png)
2024-03-02 15:25:45.674 WARN 31608 --- [nio-9090-exec-8] .w.s.m.s.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Resolved [org.springframework.web.bind.MissingServletRequestParameterException: Required request parameter 'airline-ticket' for method parameter type String is not present] 2024-03-02 15:27:41.211 WARN 31608 --- [nio-9090-exec-5] .w.s.m.s.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Resolved [org.springframe..
This just shows how important it is to let them figure it out. Like a parent could have easily swooped in and put her on the seat but they problem solved and that's super important. 이 문장에서 "swooped in"은 부모가 쉽게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지만, 그들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냅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swooped in"은 부모가 끼어들어서 상황을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police swooped in and arrested the suspects. 경찰이 빠르게 들어가서 용의자들을 체포했습니다. Whe..
간단히 말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객체의 생성과 의존성 주입을 담당하여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의 객체 관리를 지원하고, 서블릿 컨테이너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블릿을 실행하고 HTTP 요청을 처리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블릿은 Java 언어로 작성된 클래스입니다. 이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javax.servlet.Servl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javax.servlet.http.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합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아래는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간단한 서블릿의 예시 코드입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public class ..
각 디자인 패턴에 대해 예시를 들며 더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싱글톤(Singleton) 패턴: 싱글톤 패턴은 커피 전문점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전 세계에서 한 번만 존재하는 유일한 커피 전문점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싱글톤입니다. 어디에서나 같은 커피 전문점에 접근하여 커피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빌더(Builder) 패턴: 빌더 패턴은 주택 건설을 예로 들어볼 수 있습니다. 주택 건설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옵션이 있을 수 있습니다(방의 개수, 욕실의 종류 등). 빌더 패턴을 사용하면 각각의 옵션을 설정하여 원하는 유형의 주택을 건설할 수 있습니다. 데코레이터(Decorator) 패턴: 데코레이터 패턴은 케이크 장식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케이크에 초콜릿, 과일, 생크림 등을 추가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