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영어시간읽기
- 요척합의
- 헤이큐
- AATCC
- 미니마카
- 필터링후복사붙여넣기
- 비슬론지퍼
- MERN스택
- 나일론지퍼
- 엑셀자동서식
- 엑셀필터복사붙여넣기
- 비리짐
- 고급영어단어
- 웹API
- 엑셀드래그단축키
- 슈퍼코딩
- 클린코드
- 지연환가료
- WHATTIMEOFTHEDAY
- 와끼
- 핸드캐리쿠리어차이점
- 자켓실측
- 40HQ컨테이너
- Armhole Drop
- TACKING
- 봉제용어
- 미국영어연음
- 40HQ컨테이너40GP컨테이너차이
- 암홀트롭
- 우레탄지퍼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62)
CASSIE'S BLOG
const compression = require("compression"); const cors = require("cors"); const { indexRouter } = require("./src/router/indexRouter"); const { userRouter } = require("./src/router/userRouter");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 /* express 미들웨어 설정 */ // cors 설정 app.use(cors()); // body json 파싱 app.use(express.json()); // HTTP 요청 압축 app.use(compression()..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한 개의 Heroku 애플리케이션으로 배포할 수 있으나 폴더 별로 빌드팩을 설정을 다르게 해야함 네, Heroku에서는 여러 프로젝트를 한 번에 배포하더라도 각 폴더에 따라 다른 빌드 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각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buildpacks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사용하고자 하는 빌드 팩의 URL을 나열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각 프로젝트가 해당 빌드 팩에 따라 구성될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프로젝트를 동일한 Heroku 애플리케이션으로 효과적으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어드민 프젝 리팩토링 후 백엔드(heroku) - 프론트 (github pages)되어있는거를 3개다 heroku 배포로 옮길 것

E2E TEXT가 전체 테스트임. 12분~~ 테스트의 단위는 클래스가 일반적이다. 또 메소드 단위로 짜는 것도 인상적이라함. Mapper는 중요한 클래스라기보다는 유틸리티 클래스라는데 왜 유틸리티 클래스는 별로 중요하지가 않은거야? Mapper 클래스가 유틸리티 클래스로 분류되는 이유는 그 클래스가 데이터를 다루는데 도움을 주는 메서드들을 제공하기 때문일 겁니다. 하지만 유틸리티 클래스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말씀드린 것은 해당 클래스가 프로그램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담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주로 유틸리티 클래스는 여러 곳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지며, 주로 데이터 변환, 유효성 검사, 문자열 처리 등과 같은 간단한 작업을 처리합니다. ItemMapper에 i..

lazy는 처음에 티켓 아이디만 가져오는거임. flightlist가 필요할때 가져오는거임. 티켓 아이디 또는 실제 프록시를 가져온다. 프록시는 실제값은 아니라고 한다. 프록시(Proxy)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일종의 대리인으로 사용되는 객체입니다. 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의 대리로 동작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실제 객체를 생성하거나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프록시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 중 하나는 객체의 생성 또는 초기화를 지연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키고 메모리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록시는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뉩니다: Lazy Loading Proxy와 Virtual Proxy입니다. 여기서는 Lazy Loading Proxy에 대해 집중적으로..

fetch가 관계에 적용되는 객체를 어떻게 가져올건지에 대해서 정의하는 거라고함. 기본 jqa로 하기 힘들면 jpql를 쓴다고함. spring 3요소중에 하나인 psa에 대해서 설명할 거라고 함. 스프링(Spring) 프레임워크의 3가지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PSA (Portable Service Abstraction), DI (Dependency Injection), AOP (Aspect-Oriented Programming) 입니다. Portable Service Abstraction (PSA): 설명: PSA는 스프링의 핵심 철학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소비자 간에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추상화를 제공합니다. PSA의 핵심 아이디어는 특정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