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CASSIE'S BLOG

중국어 일기 사전 본문

카테고리 없음

중국어 일기 사전

ITSCASSIE1107 2025. 1. 27. 14:14
반응형

문장에서 **“我看电视时离得太近”**는 다음과 같은 문법 요소를 포함합니다.

1. 我 (주어)
• “나”를 의미하며, 주어로 사용됩니다.
• 문장의 주체로, 동작을 하는 사람입니다.

2. 看电视 (동사 + 목적어)
• “看”은 “보다”를 뜻하는 동사입니다.
• “电视”는 “텔레비전”이라는 명사로, “보다”의 목적어로 쓰였습니다.
• 함께 **“看电视”**는 “TV를 보다”라는 의미의 동사구를 형성합니다.

3. 时 (접속사/시간 부사절)
• “때”를 의미하며, 시간을 나타내는 종속절을 이끕니다.
• **“我看电视时”**는 **“내가 TV를 볼 때”**라는 시간 부사절로, 주절(뒤의 “离得太近”)의 상황이 일어나는 조건이나 시간을 설명합니다.

4. 离 (동사) lí
**“离”**는 “거리가 ~하다”를 나타내는 동사로, 보통 거리의 상태를 설명할 때 쓰입니다.
• 예: “我离家很远” (나는 집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5. 得 (보어 구조)
• **“离得太近”**에서 “得”는 보어를 연결하는 접속어로 쓰였습니다.
• 앞의 동사 “离”와 뒤의 상태(보어) “太近”을 연결합니다.

6. 太近 (보어 - 상태 표현)
• **“太”**는 “너무”라는 뜻으로,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 **“近”**은 “가깝다”를 뜻하는 형용사입니다.
• **“太近”**는 “너무 가깝다”는 의미로 보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전체 해석:

“我看电视时离得太近”
= “내가 TV를 볼 때 너무 가까이 있다”
=> 여기서 **“离得太近”**는 TV와 나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움”을 설명합니다.



문장 **“我好像看电视看上瘾了”**는 **“나는 TV 보는 것에 중독된 것 같아”**라는 의미를 가지며, 다음과 같은 문법 요소를 포함합니다.

1. 我 (주어)
• “나”를 뜻하며, 문장의 주체입니다.

2. 好像 (부사 - “마치 ~인 것 같다”)
• 好像는 “마치 ~인 것 같다” 또는 **“아마 ~일 것이다”**라는 추측이나 비유를 나타냅니다.
• 예: “天好像要下雨了” (하늘을 보니 비가 올 것 같아).
• 여기서는 **“好像”**가 화자의 주관적 추측을 표현합니다.
• “我好像” = “나는 ~인 것 같아”.

3. 看电视 (동사구 - “TV를 보다”)
• “看”: “보다”라는 동사.
• “电视”: “TV”라는 목적어.
• 합쳐서 **“看电视”**는 “TV를 보다”라는 의미의 동사구를 형성합니다.

4. 看上瘾 (결과 보어 - “중독되다”)
• “看”: “보다”라는 동사.
• “上瘾”: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중독되다”를 뜻합니다.
• “上”: 동작이 어떤 상태에 이르렀음을 나타냄.
• “瘾”: “중독” 또는 “탐닉”을 뜻하는 명사.
• **“看上瘾”**는 TV를 보는 행위에 중독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5. 了 (상태 변화 강조)
• 문장 끝의 **“了”**는 상태의 변화나 새로운 사실을 나타냅니다.
• 여기서는 **“중독되었다”**는 새로운 상태가 생겼음을 강조합니다.
• “看上瘾了” = “중독된 상태로 변했다”.

전체 문장의 구조:

“我好像看电视看上瘾了”
1. 我 (주어): “나는”
2. 好像 (부사): “마치 ~인 것 같다”
3. 看电视 (동사구): “TV를 보다”
4. 看上瘾 (결과 보어): “중독되다”
5. 了 (상태 변화): “중독된 상태로 변했다”

해석:
• “나는 TV를 보는 것에 중독된 것 같아”
=> 화자는 자신의 상태에 대해 추측하거나 느낌을 표현합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편하게 물어보세요!

上瘾 shàngyǐn 에 빠지다, 중독되다.

이거 문법 설명해줘 晚饭 이게 저녁이란 뜻인가?
晚饭吃了意大利餐 여기서 餐은 음식이라는 뜻 맞지? 저녁에 이태리 음식을 먹었어 라는 뜻이라는데

네! 문장을 분석하고 문법적으로 설명드릴게요.

1. 단어 의미
• 晚饭 (wǎnfàn): “저녁 식사”라는 뜻입니다.
• 晚 (wǎn): “늦다” 또는 “저녁”이라는 의미.
• 饭 (fàn): “밥” 또는 “식사”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晚饭은 “저녁밥” 혹은 “저녁 식사”를 의미합니다.
• 吃 (chī): “먹다”라는 동사입니다.
• 了 (le):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 意大利餐 (yìdàlì cān): “이탈리아 음식”이라는 뜻입니다.
• 意大利 (yìdàlì): “이탈리아”
• 餐 (cān): “음식” 또는 “식사”를 의미합니다.

2. 문장 구조

晚饭吃了意大利餐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1. 晚饭: 저녁(식사)
2. 吃了: 먹었다 (吃 + 了로 동작의 완료 표현)
3. 意大利餐: 이탈리아 음식

문장을 해석하면 **“저녁으로 이탈리아 음식을 먹었다”**라는 뜻이 됩니다.

3. 문법 설명
• 了 (le):
•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예:
• 我吃了饭。(wǒ chī le fàn) → “나는 밥을 먹었다.”
• 他走了。(tā zǒu le) → “그는 떠났다.”
• 餐 (cān):
• “음식”이나 “식사”를 뜻하는 명사로, 보통 특정 요리나 식사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예:
• 早餐 (zǎocān): 아침 식사
• 午餐 (wǔcān): 점심 식사
• 晚餐 (wǎncān): 저녁 식사

4. 요약
• 晚饭은 “저녁밥/저녁 식사”를 뜻합니다.
• 意大利餐은 “이탈리아 음식”을 의미합니다.
• 문장 晚饭吃了意大利餐은 “저녁에 이탈리아 음식을 먹었다”는 뜻입니다.

혹시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이게 왜 눈물이 흘렀다가 되는거야?

流眼泪了

문장 **流眼泪了 (liú yǎnlèi le)**를 분석해보면, “눈물이 흘렀다”는 뜻이 되는 이유를 문법적으로 설명드릴게요.

1. 단어 의미
• 流 (liú):
• 동사로 “흐르다”라는 뜻입니다.
예: 河流 (hé liú) → 강물이 흐르다.
• 眼泪 (yǎnlèi):
• 명사로 “눈물”을 뜻합니다.
• 眼 (yǎn): 눈
• 泪 (lèi): 눈물
• 了 (le):
• 동사 뒤에 붙어 동작의 완료를 나타냅니다.

2. 문장 구조

流眼泪了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流 (동사): 흐르다
2. 眼泪 (목적어): 눈물
3. 了 (어기): 동작 완료를 나타냄

즉, **“눈물이 흘렀다”**는 동작이 이미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3. 왜 “눈물이 흘렀다”로 해석되는지
• **流 (liú)**는 눈물이나 물 같은 액체가 “흐르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 **眼泪 (yǎnlèi)**가 **流 (liú)**의 목적어로 쓰여 **“무엇이 흘렀는가?”**라는 질문에 답합니다.
→ 답: “눈물이 흐르다.”
• 마지막 **了 (le)**는 과거 시점이나 완료된 동작을 나타내므로 **“눈물이 흘렀다”**가 됩니다.

4. 비슷한 표현과 비교
1. 我流眼泪了 (wǒ liú yǎnlèi le):
“나는 눈물을 흘렸다.”
→ 주어가 포함된 문장.
2. 他哭了 (tā kū le):
“그는 울었다.”
→ **哭 (kū)**는 “울다”를 의미하고, 눈물 흘리는 행위를 포함하지만, 감정을 더 강조합니다.
3. 流汗了 (liú hàn le):
“땀이 흘렀다.”
→ 같은 구조로 “땀”을 의미하는 **汗 (hàn)**을 사용합니다.

5. 요약
• 流眼泪了는 “눈물”이 “흘렀다”는 동작과 완료를 나타내므로, **“눈물이 흘렀다”**로 해석됩니다.
• 이 문장은 동사(流), 목적어(眼泪), 어기(了)가 결합된 간단한 형태입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물어보세요

**泪 (lèi)**는 “눈물”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입니다. **눈(眼)**과 결합해서 **眼泪 (yǎnlèi)**라는 단어가 “눈물”을 의미하게 됩니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1. 한자 분석
• 眼 (yǎn):
• “눈”을 뜻하는 한자입니다.
• 목(目) 부수로 이루어져 있어, “눈”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泪 (lèi):
• “눈물”을 뜻하는 한자입니다.
• 물(氵) 부수와 **戻 (돌아올 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氵: 물과 관련된 의미를 나타냅니다.
• 戻: “돌아오다”는 의미를 가졌지만, 이 한자의 조합에서는 구체적으로 “눈에서 나오는 액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2. 단어 형성 방식

**眼泪 (yǎnlèi)**는 **눈(眼)**과 **눈물(泪)**을 조합한 단어입니다.
• “눈(眼)에서 흐르는 물(泪)“이라는 뜻으로, 자연스럽게 “눈물”을 나타내게 됩니다.

3. 비슷한 예시

중국어에서는 이런 식으로 구체적인 명사 + 일반적인 명사의 결합으로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 鼻水 (bíshuǐ): 코(鼻)에서 흐르는 물(水) → “콧물”
• 汗水 (hànshuǐ): 땀(汗)과 물(水) → “땀방울”
• 口水 (kǒushuǐ): 입(口)에서 나오는 물(水) → “침”

4. 요약
• 泪 (lèi): 눈물 자체를 의미합니다.
• 眼泪 (yǎnlèi): 눈(眼)과 결합하여 “눈에서 흐르는 눈물”이라는 구체적인 뜻이 됩니다.

이해가 잘 안 가는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拉屎 (lā shǐ)**에서 “똥을 싸다”라는 뜻이 만들어지는 이유를 설명드릴게요.

1. 단어 분석
• 拉 (lā):
• 본래 뜻: “당기다, 끌다”라는 의미입니다.
• 하지만 구어체에서 **“배설하다”**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 예: 拉肚子 (lā dùzi) → “설사를 하다”
• 여기서는 “똥을 싸다”라는 행위를 표현하는 동사로 사용됩니다.
• 屎 (shǐ):
• “똥”을 뜻하는 명사입니다.
• 이 한자는 단독으로 “배설물”을 지칭합니다.

2. 왜 “拉”가 똥을 싸는 동작을 나타내는가?
• **拉 (lā)**는 본래 “무언가를 끌어내다”라는 뜻인데, 배변 행위는 몸에서 배설물을 “끌어내는” 동작으로 비유될 수 있습니다.
• 그래서 구어체에서 자연스럽게 “배설하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비슷한 예:
• 拉尿 (lā niào): “소변을 보다”
• 尿 (niào): 소변

3. 비슷한 표현

중국어에서 똥이나 소변을 나타내는 표현은 비교적 직설적입니다.
• 大便 (dàbiàn): “대변” (좀 더 격식 있는 표현)
• 小便 (xiǎobiàn): “소변”
• 解大手 (jiě dàshǒu): “큰일을 보다” (완곡한 표현)

4. 요약
• 拉 (lā): 본래 “끌다”라는 뜻이지만, 배설 동작을 나타내는 구어적 의미로 사용됩니다.
屎 (shǐ): “똥”이라는 명사입니다.
• 拉屎 (lā shǐ): 문자 그대로는 “똥을 끌어내다”라는 뜻이며, 자연스럽게 “똥을 싸다”로 해석됩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물어보세요!

맞습니다! **末 (mò)**는 “끝” 또는 “마지막”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年末 (niánmò)**가 “연말”을 뜻하는 이유를 설명드릴게요.

1. 한자 분석
• 年 (nián):
• “년” 또는 “해”를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 예: 今年 (jīn nián) → 올해, 明年 (míng nián) → 내년
• 末 (mò):
• “끝” 또는 “마지막”을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 예: 月末 (yuè mò) → 월말 (한 달의 끝), 年末 (nián mò) → 연말 (한 해의 끝)

2. 연말(年末)의 의미

**年末 (nián mò)**는 “연(年)”(한 해)와 “말(末)”(끝)을 결합하여, “한 해의 끝” 또는 “한 해가 끝나는 시점”을 의미하게 됩니다. 즉, **“연말”**은 “연도의 끝”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3. 비슷한 표현
• 月末 (yuè mò): “월말” (한 달의 끝)
• 学期末 (xué qī mò): “학기말” (학기의 끝)
• 末班车 (mò bān chē): “막차” (마지막 차)

4. 요약
• **末 (mò)**는 “끝” 또는 “마지막”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年末 (nián mò)**는 “연(년)의 끝”, 즉 “연말”을 뜻합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중국어 문장에서 **“运动有益于健康”**는 “운동은 건강에 좋다”는 의미입니다. 문법적으로 이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어: 运动 (yùndòng)
• 뜻: 운동
• 주어 역할을 합니다. 문장에서 주어는 운동이라는 주체를 나타냅니다.

2. 술어: 有益于 (yǒuyìyú)
• 뜻: ~에 이롭다, ~에 유익하다
• 구조:
• 有益 (yǒuyì): 유익하다, 이롭다 (형용사)
• 于 (yú): ~에 (개사, 영어의 “to”나 “for”와 비슷)
• 합쳐서 “건강에 이롭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전치사적 표현으로 해석됩니다.
• “于”는 특정 대상을 나타내며, 이 문장에서 건강을 대상으로 합니다.

3. 목적어: 健康 (jiànkāng)
• 뜻: 건강
• 술어인 有益于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 **“건강에 이롭다”**라는 표현을 완성시킵니다.

해석 순서
1. 运动 (운동은) → 주어
2. 有益于 (이롭다) → 술어
3. 健康 (건강에) → 목적어

직역:

“운동은 건강에 이롭다.”

추가 설명

이 문장은 비교적 간단한 주어 + 술어 + 목적어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중국어에서 于는 특정 대상을 연결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비슷한 문장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这本书有益于学习 (이 책은 학습에 이롭다)
• 早睡早起有益于身体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은 신체에 이롭다)

질문이 있으면 더 도와줄게!

流鼻涕了。 이게 콧물이 낫다라는데 문법 좀 설명해줘

중국어 문장 **“流鼻涕了”**는 “콧물이 난다” 또는 “콧물이 흐른다”는 의미입니다. 문법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어 생략
• 이 문장은 주어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 보통 일상 대화에서 주어가 명확할 때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 예를 들어, “我流鼻涕了” (나는 콧물이 난다)처럼 주어를 넣을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상황에 따라 주어를 암묵적으로 이해합니다.

2. 동사: 流 (liú)
• 뜻: 흐르다, 흘러내리다
• 문장에서 동사로 사용되며, “콧물(鼻涕)이 흐르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3. 목적어: 鼻涕 (bítì)
• 뜻: 콧물
• 동사 流의 목적어로 사용되어 **“흐르는 것”**의 구체적인 대상을 설명합니다.

4. 문말 조사: 了 (le)
• 뜻: ~했다, ~되었다
• 문장에서 완료 또는 상태 변화를 나타냅니다.
• 여기서는 “콧물이 흐르는 상황이 새로 발생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了는 동사 뒤에 붙어, 이미 발생했거나 새로운 상태로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직역
• 流: 흐르다
• 鼻涕: 콧물
• 了: 상태 변화 (콧물이 나는 상황이 발생함)

즉, “콧물이 났다” 또는 **“콧물이 흐르기 시작했다”**로 해석됩니다.

전체 문법 구조
1. (주어 생략) + 동사(流) + 목적어(鼻涕) + 조사(了)
2. 주어는 보통 대화 맥락에 따라 생략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我” (나) 또는 “他/她” (그/그녀)가 주어로 추측됩니다.

예문
1. 我流鼻涕了。 (Wǒ liú bítì le.)
→ 나 콧물이 난다.
2. 孩子流鼻涕了。 (Hái zi liú bítì le.)
→ 아이가 콧물이 난다.
3. 他总是流鼻涕。 (Tā zǒng shì liú bítì.)
→ 그는 항상 콧물을 흘린다.

궁금한 부분 있으면 더 질문해줘!


짠 반찬 咸的菜 xiánde cài



너무 많이 먹었다.
Chīde tài duō le
吃的太多了。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