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매경 2305호 25년 4월

ITSCASSIE1107 2025. 4. 20. 22:23
반응형

HBM효과 톡톡, SK하이닉스 사상 첫 D램 점유률 1위

간단히 말하면:
D램은 CPU가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잠깐' 저장해두는 공간이야.

**CPU(중앙처리장치)**는 직접 하드디스크나 SSD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보다, D램에서 가져오는 게 훨씬 빠름.
그래서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예: 크롬 브라우저, 워드 파일 등)이나 처리 중인 데이터(예: 영상 편집 중인 파일)는 일시적으로 D램에 올라가 있어.
전원이 꺼지면 D램의 데이터는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저장 용도보다는 작업용 공간에 가깝다고 보면 돼.

**장기 기억을 저장해주는 건 C램(CRAM)**이 아니라, **하드디스크(HDD)나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야.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특임교수 김흥종교수는 반도체 산업은 경쟁국이 적으니 관세를 맞더라도 국내생산을 해야하고 자동차처럼 경쟁이 치열한 산업은 미국으로 일부 생산기지를 옮기는 전략을 펼쳐야한다.


미국 / 중남미로 진출
관세부담이 아예 없는 미국이나 관세율이 10%인 일부 중남미 국가로 생산물량을 옮기는 선택지

스마트폰 물량의 50% 이상을 베트남에서 생산하는 삼성전자도 비상이 걸렸다.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냉장고, 오븐 등을 생산가능하도록 부지 정비를 비롯해 가건물을 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제주공항 살리려 모태 기업 (애경그룹)도 판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