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ITSCASSIE1107 2025. 4. 13. 18:27
반응형

목표와 현실의 간극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 뇌는 새로운 전략을 찾아야만 한다. 이 전략의 핵심은 처리해야 할 정보를 최대한 단순 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으로 뇌는 '범주화categorization 라는 방 법을 선택했고, 많은 정보 중에서 어떤 범주를 가장 잘 대표하는 특 성들만 남기고 나머지는 과감히 버림으로써 정보 처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특정 범주를 가장 잘 대표하는 정보는 바로
'평균mean'이다.


범주화 과정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나면 범주들 간의 연결을 시 도할 수 있다. 얼핏 보기에 전혀 유사성이 없는 범주들은 어떤 기준 으로 묶을 수 있을까? 범주들 간의 연결에서는 각각의 범주가 가지 는 의미 혹은 기능에 따라 나누거나 서로 묶는 '추상화abstraction' 과 정이 중요하다. 이를테면 명품 가방과 고급 승용차는 겉모습에서 는 별 유사성이 없다. 그러나 소유자의 지위를 강조하여 사회관계 에서 우월성을 부여한다는 기능적 측면에서는 높은 관련성을 가진 다. 따라서 명품 가방이라는 범주와 고급 승용차라는 범주는 기능 적인 측면에서 서로 묶이며, 이렇게 묶인 범주들을 대표하는 또 다 른 상위 범주는 하위 범주들보다 훨씬 강력한 선호를 유발한다.

반응형